맨위로가기

벨기에 그랑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기에 그랑프리는 1925년부터 시작된 모터스포츠 대회로,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주로 개최되며, 니벨-보울러스와 졸더 서킷에서도 열린 역사가 있다. 안토니오 아스카리의 우승으로 시작된 이 경주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중단되기도 했지만, 1950년 F1 월드 챔피언십에 포함되며 다시 시작되었다.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은 여러 차례 개조를 거치며 더욱 빨라지고 위험해졌으며, 짐 클라크, 미하엘 슈마허, 아이르톤 세나 등 전설적인 드라이버들이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2021년에는 안전 차량 뒤에서 2바퀴만 완주하는 기록적인 레이스가 펼쳐지기도 했으며, 2023년에는 레드불이 개막 12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세 종목을 포함하는 국제적인 스키 대회로, 동계 올림픽 해당 종목 경기가 최초의 세계 선수권 대회로 간주되며 국제스키연맹(FIS)의 주관 하에 홀수 해에 2년 간격으로 개최된다.
  • 192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모로코 그랑프리
    모로코 그랑프리는 1925년 카사블랑카에서 시작된 자동차 경주 대회로, 초창기에는 투어링카 레이스로 개최되었으며, 1957년과 1958년에 포뮬러 원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 벨기에 그랑프리 - 2008년 벨기에 그랑프리
    2008년 포뮬러 원 시즌의 13번째 레이스인 2008년 벨기에 그랑프리는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개최되어 루이스 해밀턴이 폴 포지션을 차지했으나, 결승 레이스에서 페널티로 3위 강등, 펠리페 마사가 우승했으며 페널티 판정은 논란을 일으켰다.
  • 벨기에 그랑프리 - 2012년 벨기에 그랑프리
    2012년 벨기에 그랑프리는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열린 포뮬러 원 경주로, 젠슨 버튼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로만 그로장은 사고 책임으로 다음 경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벨기에 그랑프리
기본 정보
스파프랑코르샹 서킷
스파프랑코르샹 서킷
서킷스파프랑코르샹 서킷 (1925–1939, 1947–1970, 1983–현재, 간헐적으로 개최)
44
서킷 길이7.004 km
경주 길이308.052 km
첫 개최1925
마지막 개최null
개최 횟수80
통계
최다 우승 드라이버미하엘 슈마허 (6회)
최다 우승 팀페라리 (18회)
2024년 벨기에 그랑프리
폴 포지션 드라이버샤를 르클레르
폴 포지션 팀페라리
폴 포지션 랩타임1:53.754
우승 드라이버루이스 해밀턴
우승 팀메르세데스
우승 시간1:19:57.566
2위오스카 피아스트리
2위 팀맥라렌-메르세데스
2위 시간+0.647
3위샤를 르클레르
3위 팀페라리
3위 시간+8.023
최고 랩 드라이버세르히오 페레스
최고 랩 팀레드불 레이싱-혼다 RBPT
최고 랩1:44.701
관련 명칭
프랑스어Grand Prix de Belgique
네덜란드어Grote Prijs van België
독일어Großer Preis von Belgien

2. 역사

1925년 벨기에 그랑프리가 처음 개최되었다. 처음에는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나, 안전 문제로 1972년부터 니벨-보렐과 졸더 서킷으로 장소를 옮겨 번갈아 개최하였다. 니벨의 경영 파산으로 1975년부터 1982년까지는 졸더에서만 개최되었다. 1983년 다시 스파-프랑코르샹으로 돌아왔고, 1985년부터는 계속해서 스파-프랑코르샹에서 개최되고 있다.

개최 시기는 보통 여름의 끝자락으로, 헝가리 그랑프리이탈리아 그랑프리 사이에 열리는 경우가 많다. 2010년부터는 서머 브레이크 이후 첫 번째 레이스로 개최되고 있다. 스파-프랑코르샹은 오 루즈를 비롯한 고속 코너가 많고, '스파 웨더'라고 불리는 변덕스러운 날씨로 인해 레이스에 변수가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F1에서 유럽권 그랑프리가 줄어들면서 벨기에 그랑프리도 존속 위기를 겪었다. 2003년에는 담배 광고 금지법 시행으로, 2006년에는 주최 측 파산과 시설 개수 지연으로 개최가 중지되기도 했다.[24] 2013년 이후 프랑스 그랑프리와 격년 개최가 검토되기도 했지만,[25] 이후에도 매년 개최되었다. 2022년 모나코 그랑프리, 프랑스 그랑프리와 함께 계약 연장이 불투명했지만, 2023년까지 개최 연장에 성공했고,[26] 2023년에는 2025년까지의 개최 연장 계약이 체결되었다.[27]

2. 1. 스파-프랑코르샹 (2차 세계대전 이전)

안토니오 아스카리, 1925년 벨기에 그랑프리 우승자


1925년, 제1회 벨기에 그랑프리가 벨기에 동부 아르덴 지방(리에주에서 약 30분 거리)에 있는 매우 빠른 약 14.48km의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개최되었다. 이 경주는 이탈리아의 알파 로메오 공장 드라이버 안토니오 아스카리가 우승했으며, 그의 아들 알베르토 아스카리는 1952년과 1953년에 이 경주에서 우승했다. 벨기에 경주에서 우승한 후 안토니오 아스카리는 다음 경주인 1925년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사망했다.[5] 1930년, 서킷은 말메디 시케인을 우회하도록 변경되었고, 루이 시롱이 우승했다. 1931년에는 그랑프리가 일종의 내구 레이스가 되어 영국인 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와 카베르토 코넬리가 우승했다. 1933년에는 타치오 누볼라리가, 1935년에는 루돌프 카라치올라메르세데스-벤츠 차량으로 우승했으며, 이 시점에 서킷은 말메디 시케인을 다시 설치했다. 1939년 경주에서는 레디옹 코너가 생겨났는데, 이는 앙시엔느 두안느 구간을 우회하는 것이었다.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하강 지점의 왼쪽으로 꺾이는 작은 굴곡만 오 루즈(Eau Rouge)라고 불리며, 이는 매우 긴 오른쪽 오르막 코너인 레디옹으로 바로 이어진다.[5] 정상의 까다로운 왼쪽 블라인드 코너에는 이름이 없다. 날씨는 끔찍했고, 경주는 선두를 달리던 영국인 드라이버 리처드 "딕" 시먼의 사망으로 얼룩졌다. 클럽하우스 코너로 향하던 시먼은 전력을 다해 밀어붙였고, 빗물에 젖은 도로에서 미끄러져 나무에 부딪히면서 그의 메르세데스에 불이 붙었다. 시먼은 생명을 위협하는 화상을 입었고, 나중에 병원에서 부상으로 사망했다. 이 경주는 시먼의 팀 동료 헤르만 랑이 우승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고, 벨기에 그랑프리는 1946년 6월까지 다시 열리지 않았는데, 이때 벨기에 수도 브뤼셀에 있는 부아 드 라 캄브르 공원에서 열린 2~4.5리터 경주에서 프랑스인 외젠 샤부가 드라예로 우승했다.

연도결승일라운드서킷우승자컨스트럭터결과
19256월 28일2스파-프랑코르샹 안토니오 아스카리알파로메오상세 정보
1926
-
1929
개최되지 않음
19307월 20일1스파-프랑코르샹 루이 시롱부카티상세 정보
19317월 12일3스파-프랑코르샹 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
카베르토 코넬리
부카티상세 정보
1932개최되지 않음
19337월 9일비 선수권스파-프랑코르샹 타치오 누볼라리마세라티상세 정보
19347월 29일비 선수권스파-프랑코르샹 르네 드레퓌스부카티상세 정보
19357월 14일3스파-프랑코르샹 루돌프 카라치올라메르세데스-벤츠상세 정보
1936개최되지 않음
19377월 11일1스파-프랑코르샹 루돌프 하세아우토 우니온상세 정보
1938개최되지 않음
19396월 25일1스파-프랑코르샹 헤르만 랑메르세데스-벤츠상세 정보
1940
-
1945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개최되지 않음
19466월 16일비 선수권캉브르 숲 외젠 샤부드라예상세 정보
19476월 29일비 선수권스파-프랑코르샹 장-피에르 위미유알파로메오상세 정보
1948개최되지 않음
19496월 19일비 선수권스파-프랑코르샹 루이 로지에탈보-라고상세 정보


2. 2. 스파-프랑코르샹 (2차 세계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벨기에인들은 벨기에 그랑프리를 졸더와 브뤼셀 근처의 니벨-보울러스 서킷에서 번갈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1972년 니벨에서 열린 첫 번째 레이스에서 에머슨 피티팔디가 우승했고, 이듬해 졸더에서 열린 레이스에서는 재키 스튜어트가 우승했다. 1974년 포뮬러 원이 니벨로 돌아왔을 때, 다시 한번 에머슨 피티팔디가 우승했지만, 서킷은 인기가 없었고, 주최 측은 니벨에서 그랑프리를 유지할 수 없어서 트랙은 레이싱 현장에서 사라졌다.

벨기에 그랑프리는 이후 졸더에서 아홉 번 더 개최되었다. 니키 라우다는 1975년과 1976년에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1977년에는 군나르 닐손이 졸더에서 유일한 F1 우승을 차지했다. 이듬해 마리오 안드레티는 로터스를 위해 레이스를 지배했고, 79를 데뷔 레이스에서 몰았다. 1979년, 조디 셰크터는 페라리로 레이스에서 우승했고, 1980년에는 디디에 피로니가 리제로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81년 회의는 FISA–FOCA 전쟁과 졸더 서킷의 열악한 상태 속에 혼란스러운 사건이었다. 금요일 연습 중, Osella 정비공 조반니 아마데오가 카를로스 로이테만에게 피트 레인에서 치여 사망했다. 레이스 당일, 졸더의 열악한 상태와 금요일의 사고로 인해 드라이버 파업이 발생하여 레이스가 늦게 시작되었다. 애로우즈 정비공이 관련된 출발선 사고가 발생했고, 리카르도 파트레세는 그의 애로우즈를 멈췄고, 그의 정비공 데이브 러켓은 파트레세의 차를 시동하려 트랙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주최 측은 레이스를 시작했고, 다른 애로우즈 드라이버인 지그프리트 스토어가 러켓이 서 있던 파트레세의 차 뒤를 들이받았다. 러켓은 의식을 잃고 서킷에 쓰러졌다. 많은 트랙 마샬들이 아스팔트에 뛰어들어 붉은 깃발 대신 노란 깃발을 흔들면서 필드를 멈추게 하려고 필사적으로 팔을 흔들었다. 차들은 전속력으로 지나갔다. 그들이 세 번째 랩을 위해 다시 돌아왔을 때, 그들은 자발적으로 멈췄다. 레이스는 다시 시작되었고 로이테만이 우승했다. 러켓은 사고에서 살아남았지만, 파트레세와 스토어는 두 번째 레이스에 참가하지 않았다.

질 빌르너브는 1982년 졸더에서 연습 중 요헨 마스와 충돌한 후 사망했다. 빌르너브의 페라리는 여러 번 뒤집혔고 사고 중 빌르너브는 차 밖으로 던져졌다. 그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서킷 근처 병원에서 밤에 사망했다. 존 왓슨이 맥라렌을 위해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2. 3. 졸더와 니벨

1972년부터 벨기에 그랑프리는 니벨-보렐과 졸더 서킷에서 번갈아 개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니벨의 경영 파산으로 인해 1975년부터 1982년까지는 졸더에서 연속으로 개최되었다.[24] 1984년 벨기에 그랑프리는 다시 졸더에서 열렸고, 이탈리아 출신 미켈레 알보레토가 페라리로 우승하며 플랑드르 서킷에서 열린 마지막 F1 레이스가 되었다.

2. 4. 스파-프랑코르샹으로 복귀

년부터 벨기에 그랑프리는 상설 코스인 니벨-보렐과 졸더 서킷에서 번갈아 개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니벨의 경영 파탄으로 인해 년부터 년까지 졸더에서 연속 개최되었다. 년에 1바퀴 거리가 단축된 스파-프랑코르샹으로 다시 돌아왔으며, 이후 계속 스파에서 개최되고 있다.

개최 시기는 여름의 끝자락이며, 헝가리 그랑프리이탈리아 그랑프리 사이에 끼는 경우가 많다. 비용 절감의 일환으로 년부터 서머 브레이크가 도입되었는데, 이후에는 서머 브레이크 이후 첫 번째 레이스가 되었다. 오 루즈를 비롯하여, 고속 코너가 많은 스파-프랑코르샹에서의 레이스는 스파 웨더라고 불리는 짧은 시간 안에 날씨가 자주 변동하면서 레이스에 많은 변수가 발생한다.

3. 주요 특징

벨기에 그랑프리는 1925년 처음 개최된 이후 여러 차례 중단되었다가, 1950년 포뮬러 원 개막 시즌부터 캘린더에 포함되었다. 초창기에는 14km 길이의 공공도로 코스인 스파-프랑코르샹에서 개최되었으나, 안전 문제로 인해 1972년부터는 니벨-보렐과 졸더 서킷으로 장소를 옮겼다. 1983년부터는 약 6.92km로 단축된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계속 개최되고 있다.

개최 시기는 주로 여름의 끝자락으로, 헝가리 그랑프리이탈리아 그랑프리 사이에 열리는 경우가 많다. 2010년 이후에는 여름 휴가 이후 첫 번째 레이스로 개최되고 있다. 오 루즈를 비롯한 고속 코너가 많은 스파-프랑코르샹은 '스파 웨더'라고 불리는 변덕스러운 날씨로 인해 레이스에 많은 변수가 발생한다.

F1에서 유럽권 그랑프리가 줄어들면서 벨기에 그랑프리도 존속 위기를 겪었다. 2003년에는 담배 광고 금지법, 2006년에는 주최 측 파산과 시설 개수 지연으로 개최가 중지되기도 했다.[24] 2013년 이후에는 프랑스 그랑프리와 격년 개최가 검토되기도 했으나,[25] 이후에도 계속 개최되고 있다. 2022년에는 계약 연장이 불투명했으나, 2023년까지 연장되었고,[26] 2023년에는 2025년까지 개최 연장 계약이 체결되었다.[27]
드라이버별 우승 횟수미하엘 슈마허가 6회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일톤 세나와 루이스 해밀턴이 5회, 키미 래이쾨넨짐 클라크가 4회 우승했다. 특히 짐 클라크는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아일톤 세나는 1988년부터 1991년까지 4회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우승 횟수드라이버우승 연도
6 미하엘 슈마허1992, 1995, 1996, 1997, 2001, 2002
5 아일톤 세나1985, 1988, 1989, 1990, 1991
루이스 해밀턴2010, 2015, 2017, 2020, 2024
4 짐 클라크1962, 1963, 1964, 1965
키미 래이쾨넨2004, 2005, 2007, 2009
3 후안 마누엘 판지오1950, 1954, 1955
데이먼 힐1993, 1994, 1998
세바스티안 베텔2011, 2013, 2018
막스 페르스타펜2021, 2022, 2023
2 알베르토 아스카리1952, 1953
에머슨 피티팔디1972, 1974
니키 라우다1975, 1976
알랭 프로스트1983, 1987
출처:[20]


컨스트럭터별 우승 횟수페라리가 18회로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이며, 맥라렌이 14회, 로터스와 메르세데스가 각각 8회 우승했다.

우승 횟수컨스트럭터우승 연도
18 페라리1952, 1953, 1956, 1961, 1966, 1975, 1976, 1979, 1984, 1996, 1997, 2001, 2002, 2007, 2008, 2009, 2018, 2019
14 맥라렌1968, 1974, 1982, 1987, 1988, 1989, 1990, 1991, 1999, 2000, 2004, 2005, 2010, 2012
8 로터스1962, 1963, 1964, 1965, 1972, 1977, 1978, 1985
메르세데스1935, 1939, 1955, 2015, 2016, 2017, 2020, 2024
6 레드불2011, 2013, 2014, 2021, 2022, 2023
4 알파로메오1925, 1947, 1950, 1951
윌리엄스1981, 1986, 1993, 1994
3 부갓티1930, 1931, 1934
2 마세라티1933, 1954
베네통 *1992, 1995


  • '''굵은 글씨'''는 2024년 F1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하는 컨스트럭터이다.
  • 분홍색은 F1 월드 챔피언십 이외에 개최된 해이다.
  • 크림색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개최되었던 유럽 드라이버 선수권의 한 라운드로 개최된 해이다.
  • 녹색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개최되었던 세계 제조사 선수권[35]의 한 라운드로 개최된 해이다.
  • * 1986년부터 1995년까지는 영국 국적, 1996년부터 2001년까지는 이탈리아 국적.

엔진 제조사별 우승 횟수

우승 횟수제조사우승 연도
18 페라리(Scuderia Ferrari)1952, 1953, 1956, 1961, 1966, 1975, 1976, 1979, 1984, 1996, 1997, 2001, 2002, 2007, 2008, 2009, 2018, 2019
14 메르세데스(Mercedes) **1935, 1939, 1955, 1999, 2000, 2004, 2005, 2010, 2012, 2015, 2016, 2017, 2020, 2024
10 포드(Ford) *1968, 1972, 1973, 1974, 1977, 1978, 1980, 1981, 1982, 1992
8 르노(Renault)1983, 1985, 1993, 1994, 1995, 2011, 2013, 2014
6 혼다(Honda)1986, 1988, 1989, 1990, 1991, 2021
5 클라이맥스(Climax)1960, 1962, 1963, 1964, 1965
4 알파 로메오(Alfa Romeo)1925, 1947, 1950, 1951
3 부카티(Bugatti)1930, 1931, 1934
2 마세라티(Maserati)1933, 1954
출처:[20][21]


  • 코스워스(Cosworth)에서 제작, 포드(Ford) 자금 지원

  • * 1999년에서 2005년 사이 일모어(Ilmor)에서 제작, 메르세데스(Mercedes) 자금 지원

3. 1. 스파-프랑코르샹 서킷

1925년, 제1회 벨기에 그랑프리가 벨기에 동부 아르덴 지방에 위치한, 리에주에서 약 30분 거리에 있는 매우 빠른 약 14.48km의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개최되었다. 이 경주는 이탈리아의 알파 로메오 공장 드라이버 안토니오 아스카리가 우승했으며, 그의 아들 알베르토 아스카리는 1952년과 1953년에 이 경주에서 우승했다. 안토니오 아스카리는 벨기에 경주에서 우승한 후 다음 경주인 1925년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사망했다.[5]

1930년까지 그랑프리는 다시 열리지 않았고, 서킷은 말메디 시케인을 우회하도록 변경되었다. 이 경주는 루이 시롱이 우승했고, 1931년에는 그랑프리가 일종의 내구 레이스가 되어 영국인 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와 카베르토 코넬리가 우승했다. 1933년에는 타치오 누볼라리가, 1935년에는 루돌프 카라치올라가 메르세데스 차량으로 우승했으며, 이 시점에 서킷은 말메디 시케인을 다시 설치했다. 1939년 경주에서는 레디옹 코너가 생겨났는데, 이는 앙시엔느 두안느 구간을 우회하는 것이었다.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하강 지점의 왼쪽으로 꺾이는 작은 굴곡만 오 루즈(Eau Rouge)라고 불리며, 이는 매우 긴 오른쪽 오르막 코너인 레디옹으로 바로 이어진다.[5] 정상의 까다로운 왼쪽 블라인드 코너에는 이름이 없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고, 벨기에 그랑프리는 1946년 6월까지 다시 열리지 않았다.

이후 스파는 더욱 빨라지도록 개조되어 길이가 약 14.00km로 단축되었다. 모든 느린 코너가 제거되었고, 스타블로 헤어핀은 우회되어 빠른 뱅크 코너로 바뀌었으며, 말메디 시케인도 우회되었다. 이 시점에서 라 소스를 제외한 모든 코너는 초고속이었다. 이 시기 동안 스파는 모터스포츠 역사상 가장 극적이고 도전적이며 무시무시한 서킷 중 하나로 알려지게 되었다.

1950년에는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이 도입되었고, 레이스는 아르헨티나 출신 후안 마누엘 팡기오와 이탈리아 출신 니노 파리나의 알파 로메오가 지배했다. 가장 강력한 경쟁자였던 알베르토 아스카리는 연료 문제로 뒤쳐졌다. 레이스는 팡기오가 우승했고, 이듬해 파리나가 팡기오가 허브 문제로 뒤쳐진 후 자신의 웍스 알파로 우승했다. 1953년에는 아스카리페라리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고, 마세라티는 고장이 났다. 팡기오는 충돌했고,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는 스티어링 고장으로 스타블로 뱅크 코너 근처에서 멈춰야 했다. 1955년에는 메르세데스가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고, 팡기오와 그의 영국인 팀 동료 스털링 모스가 레이스를 이끌었다. 모스는 레이스 대부분 동안 팡기오를 바짝 따라갔고, 아르헨티나 출신은 전년도 마세라티에서와 마찬가지로 승리했다. 1956년에는 젖은 레이스가 펼쳐졌고, 모스마세라티로 선두를 달렸고, 페라리를 운전하게 된 팡기오는 좋지 않은 출발로 시작에서 5위로 떨어졌지만, 모스에 이어 2위까지 올라갔다. 트랙이 마르면서 모스는 라이디용 코너에서 휠을 잃었다. 그는 아무것도 치지 않고 팀 동료 체사레 페르디사의 차를 이어받아 3위로 경주를 마칠 수 있었다. 팡기오의 차의 기어박스가 고장났고, 그의 팀 동료 피터 콜린스가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1957년 레이스는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수에즈 위기로 인한 연료 가격 폭등으로 레이스 개최 자금이 없어 취소되었다. 1958년에는 스파에 새로운 시설이 갖춰졌고, 트랙이 재포장되었으며, 피트 스트레이트도 더 넓어졌다. 그러나 스파는 안전이 부족했던 시대에도 용서받지 못하고, 무섭고, 정신적으로 매우 힘든 서킷이라는 평판을 얻었고, 대부분의 레이싱 이벤트, 특히 스파에서 열리는 벨기에 그랑프리는 일부 드라이버들이 서킷을 두려워하고 레이싱을 좋아하지 않아 평균보다 적은 선수들이 참가했다. 레이아웃은 이전과 동일했고, 오류에 대한 극도로 작고 거의 존재하지 않는 여유 공간이 매우 빠르게 현실화되었다. 서킷은 매우 도전적이었는데, 이는 주로 서킷의 각 코너가 매우 빨랐고, 서킷의 긴 길이, 게다가 거의 전적으로 빠른 코너와 직선로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서킷은 매우 빨랐고, 다음 코너에서 속도를 유지하려면 각 코너를 올바르게 통과해야 했다. 레이싱 라인을 벗어나거나 잘못 타면 몇 초가 손실되었다. 스파는 날씨가 예측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해 있었는데, 많은 레이스에서 트랙의 한 부분은 건조하고 햇볕이 쨍쨍한 반면, 다른 부분은 흠뻑 젖어 비가 내렸다. 구 스파 서킷 시대에는 라디오가 없었기 때문에 드라이버들은 서킷 상황을 전혀 알 수 없었고, 이전 랩에서는 없었던 비를 경고 없이 만날 수 있었다. 서킷의 특성상 차량이 회전하면 전신주, 집, 돌담, 제방 또는 나무에 충돌할 수 있었다. 1950년대에 스파에서는 그곳에서 경쟁했던 모든 모터스포츠 종목에서 많은 드라이버가 사망하거나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1958년에는 토니 브룩스가 팀 동료 스털링 모스를 제치고 우승했다. 1959년에는 레이스가 열리지 않았지만, 1960년은 포뮬러 원 역사상 가장 어두운 주말 중 하나가 될 예정이었다. 그랑프리 레이싱은 새로운 종류의 자동차 디자인으로 발전했다. 쿠퍼와 로터스와 같은 새로운 영국 독립 팀들은 1930년대의 아우토 우니온 그랑프리 자동차와 매우 유사한 후방 미드 엔진 자동차를 개척했다. 이 자동차들은 앞 엔진 자동차보다 훨씬 가볍고 빠르며 운전하기 쉬웠고, 후방 미드 엔진 자동차가 맞춤형 자동차 경주에서 나아갈 방향이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러나 이 새로운 유형의 자동차는 스파에서 운전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아무도 그들이 거기에서 어떻게 성능을 낼지 알지 못했다. 스파의 고속 코너는 이제 이 새로운 자동차로 훨씬 더 빨라졌고, 당시에는 자동차나 서킷에 어떤 종류의 안전 기능도 없었다. 원통형 차체는 매우 얇고 인화성이 높은 마그네슘 또는 유리 섬유로 만들어졌으며, 당시의 튜브 프레임 섀시는 충돌 저항성이 거의 없었다(몇 년 후 로터스가 개척한 현대식 모노코크와는 대조적). 자동차는 충돌 테스트를 거치지 않았고, 롤 바도 없었다(1961년에 의무화됨). 드라이버들은 헬멧을 착용했지만, 헬멧은 약하고 가벼운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과학적으로 설계되거나 테스트되지 않았다. 당시 드라이버들은 안전 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는데, 부상이나 사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불이 붙을 수 있는 차에서 튕겨져 나오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연습 중에, 개인적으로 출전한 로터스를 운전하던 스털링 모스는 그의 차에서 휠이 떨어져나가 번빌 오른쪽 코너에서 심하게 충돌했다. 당시 세계 최고의 레이싱 드라이버 중 한 명으로 여겨지던 모스는 차에서 튕겨져 나와 의식을 잃은 채 트랙 중앙에 떨어졌다. 그 영국인은 두 다리, 척추뼈 세 개, 여러 개의 갈비뼈가 부러지고 여러 찰과상을 입었지만 살아남았지만 그 해 대부분의 레이스에 참가하지 못했다. 로터스를 운전하던 영국인 마이크 테일러는 스티어링 고장으로 스타블로 근처 트랙 옆의 나무에 충돌했다. 테일러는 심각한 머리 및 목 부상으로 한동안 차 안에 갇혔다. 이 사고로 그의 레이싱 경력이 끝났고, 그는 나중에 결함이 있는 기계를 판매한 혐의로 영국 법원에서 로터스 설립자 콜린 채프먼을 상대로 소송에서 승소했다. 그러나 레이스 자체는 더욱 참담했다. 17랩에서, 쿠퍼를 운전하던 영국인 크리스 브리스토는 벨기에 출신 윌리 마이레세와 6위를 놓고 경쟁하고 있었다. 브리스토는 스파에서 운전한 적이 없었고, 다소 거칠다는 평판을 가진 대담하고 대담한 드라이버로 여겨졌으며, 비교적 경험이 없는 22세의 영국인은 짧은 경력 동안 많은 사고를 겪었다. 마이레세 또한 공격적인 드라이버로 알려져 있었고, 승리가 최우선이라는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자신의 홈 트랙에서 추월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었다. 브리스토와 마이레세는 바퀴가 부딪혔고, 영국인은 말메디에서 통제력을 잃고 전복되어 트랙 오른쪽에 있는 제방에 충돌했다. 차는 여러 번 굴렀고, 브리스토는 차에서 튕겨져 나와 서킷 옆에 있는 철조망에 의해 머리가 잘려 즉사했다. 그의 시신은 부분적으로 트랙에 떨어졌고 한동안 그곳에 있었다. 마이레세는 계속했지만 나중에 기어박스 문제로 레이스에서 기권했다. 5랩 후, 6위를 달리며 웍스 로터스를 운전하던 26세의 영국인 앨런 스테이시는 크리스 브리스토가 사망한 곳에서 멀지 않은 마스타 스트레이트에서 새에게 얼굴을 맞았을 때 기이한 사고를 당했다. 스테이시는 140mph에서 차의 통제력을 잃었고, 차는 트랙 옆의 제방 위로 올라가 날아갔다. 10피트 두께의 덤불을 관통한 후, 차는 트랙보다 25피트 낮은 들판의 한 지점에 착륙했다. 들판에 충돌하면서 폭발하고 불이 붙어 사망했다. 충돌로 목이 부러졌는지, 아니면 무의식 상태에서 불에 타 죽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호주 출신 잭 브라밤이 레이스에서 우승했고, 미래의 영국인 거장 짐 클라크는 5위로 결승선을 통과하여 포뮬러 원 포인트 첫 득점을 올렸다. 그러나 클라크는 다른 여러 드라이버와 마찬가지로, 브리스토의 머리 없는 시신을 덮치지 않기 위해 극도의 속도로 급히 피해야 했던 후 서킷에 대한 강렬한 혐오감을 갖게 되었다. 1994 산마리노 그랑프리 이전까지는 사망자 수로 볼 때 최악의 포뮬러 원 이벤트였다.[6]

1961년에는 페라리가 뛰어난 마력을 활용하여 필 힐이 우승하면서 1-2-3-4로 경주를 마쳤다. 1962년에는 짐 클라크가 자신의 첫 레이스에서 우승했고, 다음 세 번의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 1963년에는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레이스에서 짐 클라크가 2위를 차지한 브루스 맥라렌보다 4.5분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1966년에는 엔진 배기량이 1.5L에서 최대 3L로 증가한 새로운 규정에 따라 제작된 차량이 등장했고, 엔진은 이전보다 2배나 더 많은 마력을 냈다. 올해에도 또 다른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레이스가 펼쳐졌는데, 첫 랩에서 경주 차량들이 서킷의 먼 쪽으로 다가가자 폭우로 인해 7명의 드라이버가 번빌에서 수면 위를 미끄러졌다. 영국인 재키 스튜어트는 마스타 킨크에서 고속 사고를 당했는데, 그는 목수의 오두막을 통과하고 전신주를 들이받아 차량이 거꾸로 떨어진 서킷의 훨씬 낮은 부분으로 떨어졌다. 스튜어트가 운전하던 BRM은 다리에 꺾여 들어가 혼자 빠져나올 수 없었고, 스코틀랜드인은 거의 30분 동안 차 안에 갇혀 있었다. 드라이버 옆에 위치한 차 안에 있는 가방인 연료 탱크가 파열되어 인화성 연료가 그를 적셨고, 그는 또한 갈비뼈와 쇄골이 부러졌다. 스튜어트의 BRM 팀 동료 그레이엄 힐과 밥 본듀런트는 스튜어트 근처에서 떨어져 도와주러 왔다. 당시 안전 예방 조치가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근처 관람객에게서 스패너를 빌려 스튜어트를 꺼냈다. 서킷에는 다른 심각한 사고가 있었고, 일부 차량은 30피트 높이의 선반에 매달려 있었다. 이 레이스에서 스튜어트의 충돌은 이후 경주 트랙의 안전을 위한 그의 십자군에 영감을 주었다. 트랙에 물이 너무 많아 클라크의 로터스에 있는 클라이맥스 엔진이 침수되어 고장났다. 영국인 존 서티스페라리로 레이스에서 우승했고, 오스트리아 출신 요헨 린트가 쿠퍼로 2위를 차지했다.

1967년에는 미국인 댄 거니가 자신의 이글을 타고 짐 클라크가 기계적 문제를 겪은 후 우승했다. 이는 이글의 유일한 F1 승리가 될 것이었다. 영국인 마이크 파크스는 재키 스튜어트의 BRM에서 떨어진 오일에 미끄러져 블랑시몽에서 시속 150mph로 심하게 충돌했다. 그의 차가 제방을 들이받고 올라간 후, 웍스 페라리 드라이버는 차에서 튕겨져 나와 다리와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그는 일주일 동안 혼수 상태에 있었고, 처음에는 다리를 절단해야 할 위험이 있었다. 그는 살아남았지만 다시는 포뮬러 원에서 레이스를 하지 않았다. 1968년에는 여러 가지 최초의 사건이 있었다. 공기역학 장치인 날개가 포뮬러 원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유럽의 건설업체, 특히 콜린 채프먼과 마우로 포르기에리는 미국인 짐 홀의 차파랄 2E 및 2F 스포츠카의 매우 큰 스트럿 날개의 영향을 받았다. 뉴질랜드 출신 크리스 아몬은 후방 윙이 장착된 페라리로 마트라의 재키 스튜어트를 4초 차이로 폴 포지션을 차지했다. 레이스 당일, 맥라렌은 창립자 브루스 맥라렌이 우승하면서 처음으로 건설업체로서의 승리를 거두었지만, 레이스에서 또 다른 심각한 사고가 발생했다. 영국인 브라이언 레드먼은 웍스 쿠퍼를 번빌에서 주차된 포드 코티나 로드카에 고속으로 심하게 충돌했고, 쿠퍼에 불이 붙었다. 그는 심각한 화상을 입었고 오른팔이 심하게 부러졌으며, 그 해 대부분의 레이스에 참가하지 못했다.

다음 시즌에는 안전 문제가 심각해졌다. 평균 랩 속도는 시속 150mi/h를 넘었지만, 서킷에는 여전히 안전 기능이 거의 없었고, 그 결과 수년에 걸쳐 레이스가 드라이버들에게 점점 더 인기가 없어졌다. 그랑프리는 1969년 포뮬러 원 시즌의 일부로 1969년 6월 8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재키 스튜어트가 그랑프리 드라이버 협회를 대표하여 서킷을 방문했을 때, 그는 레이싱을 위해 트랙을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안전 장벽 및 노면 개선을 요구했다.[7] 트랙 소유주가 안전 개선 비용을 지불하고 싶어하지 않자,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팀이 이 행사에서 철수했고, 4월 초에 취소되었다. 그 해 벨기에 그랑프리의 제외는 언론, 특히 영국 언론인 데니스 젠킨슨에게 호의적이지 않았다.[8] 마지막 레이스는 1970년에 열렸으며, 빠른 말메디 코너에 장벽과 임시 시케인이 설치되었지만, 심지어 이것조차도 차량이 약 14.00km 트랙을 시속 150mi/h 이상으로 평균 주행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레이스에서는 멕시코인 페드로 로드리게스가 BRM으로 우승했고, 뉴질랜드인 크리스 아몬이 March로 1.1초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스파는 여전히 너무 빠르고 위험했으며, 1971년에는 벨기에 그랑프리가 취소되었다. 그 해 트랙이 FIA가 의무화한 안전 사양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후 이 행사는 결국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1979년,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은 약 6.92km로 단축되었다. 도시와 시가지를 통과하는 구간, 마을과 기타 장애물을 지나가는 구간은 잘려나갔고, 레 콩브(Les Combes) 좌회전 코너 바로 전에 새로운 일련의 코너가 설치되었으며, 새 트랙은 블랑쉬몽으로 이어지는 직선 구간에서 기존 트랙과 다시 합류했다. 단축된 스파 서킷에서 열린 첫 번째 레이스는 프랑스 출신 알랭 프로스트가 우승했으며, 이 서킷은 드라이버, 팀, 팬들 사이에서 즉각적인 인기를 얻었다.

1985년에는, 종종 비가 많이 내리는 스파 서킷에서 자동차의 주행을 돕기 위해 특별히 새로 포장된 아스팔트 때문에 대회가 연기되었다. 그러나 주최측의 당혹감 속에 날씨는 더웠고, 트랙 표면이 너무 심하게 파손되어 드라이버들이 주행할 수 없었다. 대회는 원래 6월 초에서 9월 중순으로 옮겨졌다. 9월 중순이 되자 브라질 출신 아일톤 세나가 젖거나 마른 노면의 레이스에서 로터스를 몰고 자신의 벨기에 그랑프리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86년에는 나이절 만셀이 압도적인 경기를 펼쳤으며, 이듬해 만셀이 넓은 코너 바깥쪽에서 브라질 선수를 추월하려다 둘이 충돌했다. 세나는 그 다음 4번의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는데, 처음 2번은 폭우 속에서 치러졌다. 1988년 대회는 5월이나 6월 대신 8월 말/9월 초에 열린 최초의 벨기에 그랑프리였고(1985년 재조정된 대회 제외), 이후 이 시기에 대회가 계속 개최되었다. 1990년 대회는 첫 번째 출발 시 라 소스 헤어핀에서 여러 대의 차량이 사고를 당하고, 두 번째 출발 시 파올로 바릴라가 오 루즈에서 충돌하면서 두 번이나 재개해야 했다. 1992년에는 독일 출신 미하엘 슈마허가 베네통에서 91번의 그랑프리 우승 중 첫 번째를 차지했는데, 이 서킷에서 포뮬러 1 데뷔를 한 지 1년 만이었다. 데이먼 힐은 1993년 대회에서 세나, 슈마허와 치열한 접전을 벌인 끝에 우승했다.

1994년에는 그 해 이몰라에서 아일톤 세나와 롤란트 라첸베르거의 사망 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오 루즈 하단에 시케인이 설치되었다. 1995년에는 시케인이 사라졌고, 슈마허가 이 대회와 그 다음 두 번의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 1998년 대회는 폭우 속에서 치러졌다. 레이스는 원래 첫 번째 코너에서 22명의 출전자 중 13명이 관련된 사고로 인해 중단되었다. 재개 후 폭우로 인해 시야가 좋지 않았고, 미하엘 슈마허가 데이비드 쿨사드의 뒤를 들이받았는데, 이 사건으로 슈마허는 격분하여 맥라렌 차고로 쳐들어가 쿨사드가 자신을 죽이려 했다고 주장하며 대립했다. 쿨사드는 나중에 자신의 미숙함 때문에 과실이 있었음을 인정했다.[9] 8명의 드라이버만이 완주자로 분류되었고 (그중 2명은 5바퀴 뒤쳐졌고, 그중 한 명은 쿨사드였다) 데이먼 힐은 팀 동료 랄프 슈마허를 제치고 조던 팀의 첫 번째 포뮬러 원 우승을 기록했다.

슈마허는 2001년 스파에서 자신의 52번째 그랑프리에서 우승하여 알랭 프로스트의 역대 최다 승 기록인 51승을 넘어섰다. 슈마허는 또한 2004년 스파에서 자신의 일곱 번째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3년에는 벨기에의 담배 광고 법 때문에 벨기에 그랑프리가 열리지 않았다. 2006년, FIA는 지역 당국이 9월 레이스 전에 스파-프랑코르샹에서 주요 수리 작업을 완료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벨기에 그랑프리가 캘린더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10] 벨기에 그랑프리는 2007년에 다시 개최되었고, 키미 래이쾨넨이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3회 연속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

2008년, 맥라렌루이스 해밀턴은 막바지 소나기 속에서 격렬한 마지막 두 바퀴를 살아남아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해밀턴은 초반 스핀으로 페라리키미 래이쾨넨에게 선두를 내줬지만, 마지막 랩에서 다시 따라잡아 두 바퀴를 남기고 선두를 탈환했다. 젖은 노면에서 해밀턴라이코넨을 추월했고, 스핀으로 다시 선두를 내줬지만, 다시 선두를 탈환했고, 라이코넨이 충돌하는 것을 지켜봤다. 페라리의 펠리페 마사는 2위를 차지하며 해밀턴에 8점 뒤쳐졌다. 그러나 경기 후 심판들은 해밀턴이 버스 스톱 시케인에서 코너를 통과했다고 판단하여 라이코넨을 추월한 해밀턴에게 규정상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로 간주되는 25초 페널티를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해밀턴페라리의 펠리페 마사와 BMW 자우버의 닉 하이드펠트 뒤인 3위로 밀려났다. 페널티로 인해 해밀턴이 마사와의 격차는 5경기를 남겨두고 불과 2점으로 줄어들었다. 맥라렌은 이 결정에 대해 항소했지만,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에 대한 항소는 허용되지 않아 기각되었다. 심판의 결정에 대해 전 세계 챔피언 니키 라우다는 "완전히 잘못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11]

2009년, 버니 에클스톤은 인터뷰에서 벨기에 그랑프리가 뉘르부르크링과 로테이션으로 개최되는 대신, 뉘르부르크링호켄하임링과 로테이션으로 개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12] 이러한 로테이션은 실현되지 않았고, 벨기에 그랑프리는 2022년까지 개최하기로 계약되어 있다.[13]

2021년 레이스는 역사상 가장 짧은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레이스가 되었고, 전체 레이스 기간 동안 완전한 그린 플래그 조건에서 주행이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은 유일한 월드 챔피언십 그랑프리가 되었으며, 안전 차량 뒤에서 2랩만 완주하고 레이스가 3랩에서 적색 깃발이 걸리고 악천후로 인해 재개되지 않아 레이스 순위는 1랩 종료 시점으로 계산되었고, 막스 베르스타펜이 1위, 조지 러셀이 2위, 루이스 해밀턴이 3위로 분류되었고, 절반의 점수가 부여되었다.[14] 이 레이스에 대한 점수 부여를 둘러싼 논란으로 인해 포뮬러 원과 FIA는 2022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을 앞두고 단축된 레이스에 대한 점수 구조를 변경했다.[15][16] 2022년 레이스는 1995년 미하엘 슈마허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순위인 14위에서 출발한 베르스타펜이 우승했다.[17] 레이스 계약은 2023년 시즌까지 연장되었다.[18] 2023년 10월, 레이스 계약은 2025 시즌까지 연장되었다.[19]

3. 2. 주목할 만한 레이스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주목할 만한 레이스는 다음과 같다.

  • 1925년: 제1회 벨기에 그랑프리가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개최되어 안토니오 아스카리가 우승했다.[5]
  • 1939년: 리처드 시먼이 사고로 사망하고 헤르만 랑이 우승했다.[5]
  • 1960년: 연습 중 스털링 모스와 마이크 테일러가 큰 부상을 입고, 결승에서는 크리스 브리스토와 앨런 스테이시가 사망하는 등 "암흑의 주말"로 불리는 비극적인 레이스가 되었다.[6]
  • 1961년: 필 힐이 우승하며 페라리가 1-2-3-4위를 차지했다.
  • 1966년: 재키 스튜어트가 큰 사고를 당한 후 트랙 안전에 대한 십자군 운동을 시작하게 되었다.[9]
  • 1967년: 댄 거니가 이글 경주차로 우승했다.
  • 1968년: 브루스 맥라렌이 자신의 팀으로 첫 우승을 거두었다.
  • 1981년: 카를로스 로이테만의 차량에 정비공이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1982년: 질 빌르너브가 연습 중 사고로 사망했다.
  • 1991년: 미하엘 슈마허가 포뮬러 원 데뷔전을 치렀다.
  • 1992년: 미하엘 슈마허가 포뮬러 원 첫 우승을 차지했다.
  • 1998년: 폭우 속에서 대규모 사고가 발생하고, 데이먼 힐이 조던 팀에 첫 우승을 안겼다.
  • 2000년: 미카 하키넨미하엘 슈마허를 상대로 "20세기 최고의 추월"을 선보였다.
  • 2001년: 미하엘 슈마허가 알랭 프로스트의 최다 우승 기록(51승)을 경신하는 52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 2008년: 루이스 해밀턴이 우승했으나, 시케인 숏컷으로 페널티를 받아 3위로 강등되었다.[11]
  • 2021년: 폭우로 인해 안전 차량 뒤에서 2랩만 주행하고 종료되어, 하프 포인트가 부여되었다.[14]
  • 2022년: 막스 베르스타펜이 14위에서 출발하여 우승했다.[17]
  • 2024년: 조지 러셀이 우승했지만 차량 중량 위반으로 실격되어, 루이스 해밀턴이 승자가 되었다.[34]


우승 횟수드라이버우승 연도
6 미하엘 슈마허1992, 1995, 1996, 1997, 2001, 2002
5 아일톤 세나1985, 1988, 1989, 1990, 1991
루이스 해밀턴2010, 2015, 2017, 2020, 2024
4 짐 클라크1962, 1963, 1964, 1965
키미 래이쾨넨2004, 2005, 2007, 2009
3 후안 마누엘 판지오1950, 1954, 1955
데이먼 힐1993, 1994, 1998
세바스티안 베텔2011, 2013, 2018
막스 페르스타펜2021, 2022, 2023
2 알베르토 아스카리1952, 1953
에머슨 피티팔디1972, 1974
니키 라우다1975, 1976
알랭 프로스트1983, 1987
출처:[20]


4. 역대 우승자



  • 1929개최되지 않음19307월 20일1스파-프랑코르샹루이 시롱부카티상세 정보19317월 12일3스파-프랑코르샹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
    카베르토 코넬리부카티상세 정보1932개최되지 않음19337월 9일비 선수권스파-프랑코르샹타치오 누볼라리마세라티상세 정보19347월 29일비 선수권스파-프랑코르샹르네 드레퓌스부카티상세 정보19357월 14일3스파-프랑코르샹루돌프 카라치올라메르세데스-벤츠상세 정보1936개최되지 않음19377월 11일1스파-프랑코르샹루돌프 하세아우토 우니온상세 정보1938개최되지 않음19396월 25일1스파-프랑코르샹헤르만 랑메르세데스-벤츠상세 정보1940
    -
    1945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개최되지 않음19466월 16일비 선수권캉브르 숲외젠 샤부드라예상세 정보19476월 29일비 선수권스파-프랑코르샹장-피에르 위미유알파로메오상세 정보1948개최되지 않음19496월 19일비 선수권스파-프랑코르샹루이 로지에탈보-라고상세 정보


연도결승일라운드서킷우승자컨스트럭터결과
19506월 18일5스파-프랑코르샹후안 마누엘 판지오알파로메오자세히
19516월 17일3스파-프랑코르샹주세페 파리나알파로메오자세히
19526월 22일3스파-프랑코르샹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자세히
19536월 21일4스파-프랑코르샹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자세히
19546월 20일3스파-프랑코르샹후안 마누엘 판지오마세라티자세히
19556월 5일4스파-프랑코르샹후안 마누엘 판지오메르세데스자세히
19566월 3일4스파-프랑코르샹피터 콜린스페라리자세히
1957개최되지 않음
19586월 15일5스파-프랑코르샹토니 브룩스반월자세히
1959개최되지 않음
19606월 19일5스파-프랑코르샹잭 브라밤쿠퍼-코벤트리 클라이맥스자세히
19616월 18일3스파-프랑코르샹필 힐페라리자세히
19626월 17일3스파-프랑코르샹짐 클라크로터스-클라이맥스자세히
19636월 9일2스파-프랑코르샹짐 클라크로터스-클라이맥스자세히
19646월 14일3스파-프랑코르샹짐 클라크로터스-클라이맥스자세히
19656월 13일3스파-프랑코르샹짐 클라크로터스-클라이맥스자세히
19666월 12일2스파-프랑코르샹존 서티스페라리자세히
19676월 18일4스파-프랑코르샹댄 거니이글-자세히
19686월 9일4스파-프랑코르샹브루스 맥라렌맥라렌-포드자세히
1969개최되지 않음
19706월 7일4스파-프랑코르샹페드로 로드리게스BRM자세히
1971개최되지 않음
19726월 4일5니벨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포드자세히
19735월 20일5졸더재키 스튜어트티렐-포드자세히
19745월 12일5니벨에머슨 피티팔디맥라렌-포드자세히
19755월 25일6졸더니키 라우다페라리자세히
19765월 16일5졸더니키 라우다페라리자세히
19776월 5일7졸더군나르 닐손로터스-포드자세히
19785월 21일6졸더마리오 안드레티로터스-포드자세히
19795월 13일6졸더조디 섀터페라리자세히
19805월 4일5졸더디디에 피로니리제-포드자세히
19815월 17일5졸더카를로스 로이테만윌리엄스-포드자세히
19825월 9일5졸더존 왓슨맥라렌-포드자세히
19835월 22일6스파-프랑코르샹알랭 프로스트르노자세히
19844월 29일3졸더미켈레 알보레토페라리자세히
19859월 15일13스파-프랑코르샹아일톤 세나로터스-르노자세히
19865월 25일5스파-프랑코르샹나이젤 만셀윌리엄스-혼다자세히
19875월 17일3스파-프랑코르샹알랭 프로스트맥라렌-TAG자세히
19888월 28일11스파-프랑코르샹아일톤 세나맥라렌-혼다자세히
19898월 27일11스파-프랑코르샹아일톤 세나맥라렌-혼다자세히
19908월 26일11스파-프랑코르샹아일톤 세나맥라렌-혼다자세히
19918월 25일11스파-프랑코르샹아일톤 세나맥라렌-혼다자세히
19928월 30일12스파-프랑코르샹미하엘 슈마허베네통-포드자세히
19938월 29일12스파-프랑코르샹데이먼 힐윌리엄스-르노자세히
19948월 28일11스파-프랑코르샹데이먼 힐윌리엄스-르노자세히
19958월 27일11스파-프랑코르샹미하엘 슈마허베네통-르노자세히
19968월 25일13스파-프랑코르샹미하엘 슈마허페라리자세히
19978월 24일12스파-프랑코르샹미하엘 슈마허페라리자세히
19988월 30일13스파-프랑코르샹데이먼 힐조던-무한혼다자세히
19998월 29일12스파-프랑코르샹데이비드 쿨사드맥라렌-메르세데스자세히
20008월 27일13스파-프랑코르샹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자세히
20019월 2일14스파-프랑코르샹미하엘 슈마허페라리자세히
20029월 1일14스파-프랑코르샹미하엘 슈마허페라리자세히
2003개최되지 않음
20048월 29일14스파-프랑코르샹키미 라이코넨맥라렌-메르세데스자세히
20059월 11일16스파-프랑코르샹키미 라이코넨맥라렌-메르세데스자세히
2006개최되지 않음
20079월 16일14스파-프랑코르샹키미 라이코넨페라리자세히
20089월 7일13스파-프랑코르샹펠리페 마사페라리자세히
20098월 30일12스파-프랑코르샹키미 라이코넨페라리자세히
20108월 29일13스파-프랑코르샹루이스 해밀턴맥라렌-메르세데스자세히
20118월 28일12스파-프랑코르샹세바스찬 베텔레드불-르노자세히
20129월 2일12스파-프랑코르샹젠슨 버튼맥라렌-메르세데스자세히
20138월 25일11스파-프랑코르샹세바스찬 베텔레드불-르노자세히
20148월 24일12스파-프랑코르샹다니엘 리카르도[38]레드불-르노자세히
20158월 23일11스파-프랑코르샹루이스 해밀턴메르세데스자세히
20168월 28일13스파-프랑코르샹니코 로즈버그메르세데스자세히
20178월 27일12스파-프랑코르샹루이스 해밀턴메르세데스자세히
20188월 26일13스파-프랑코르샹세바스찬 베텔페라리자세히
20199월 1일13스파-프랑코르샹샤를 르클레르페라리자세히
20208월 30일7스파-프랑코르샹루이스 해밀턴메르세데스자세히
20218월 29일12스파-프랑코르샹막스 페르스타펜[30]레드불-혼다자세히
20228월 28일14스파-프랑코르샹막스 페르스타펜레드불-RBPT자세히
20237월 30일13스파-프랑코르샹막스 페르스타펜레드불-혼다・RBPT자세히
20247월 28일14스파-프랑코르샹루이스 해밀턴메르세데스자세히



(2승 이상)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5%"

|-

! 횟수

! 컨스트럭터

! 우승 연도

|-

! 18

| '''페라리'''

| 1952, 1953, 1956, 1961, 1966, 1975, 1976, 1979, 1984, 1996, 1997, 2001, 2002, 2007, 2008, 2009, 2018, 2019

|-

! 14

| '''맥라렌'''

| 1968, 1974, 1982, 1987, 1988, 1989, 1990, 1991, 1999, 2000, 2004, 2005, 2010, 2012

|-

!rowspan="2"| 8

| 로터스

| 1962, 1963, 1964, 1965, 1972, 1977, 1978, 1985

|-

| '''메르세데스'''

| 1935, 1939,

5. 한국과의 관계

Belgian Grand Prix|벨기에 그랑프리영어와 대한민국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현재까지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Verstappen and Tsunoda hit with grid penalties at Belgian GP after engine changes https://www.formula1[...] 2024-07-26
[2] 웹사이트 Verstappen claims P1 in Belgium qualifying ahead of grid penalty as he heads Leclerc and Perez https://www.formula1[...] 2024-07-27
[3] 웹사이트 Russell disqualified from Belgian Grand Prix for underweight car as Hamilton is promoted to winner https://www.formula1[...] 2024-07-28
[4] 웹사이트 Hamilton wins thrilling Belgian Grand Prix with team mate Russell disqualified https://www.formula1[...] 2024-07-28
[5] 웹사이트 Eau Rouge or Raidillon? http://www.circuitso[...] 2017-03-31
[6] 웹사이트 Tragic day overshadows Jack Brabham victory http://en.espnf1.com[...] ESPN F1 1960-06-19
[7] 뉴스 Need for safer circuit The Times 1969-03-25
[8] 뉴스 Belgian GP succumbs to ban The Times 1969-04-12
[9] 웹사이트 Crash was my fault, Coulthard admits http://www.smh.com.a[...] smh.com.au 2003-07-07
[10] 뉴스 Belgian GP officially off the 2006 calendar https://www.motorspo[...] 2018-11-24
[11] 웹사이트 Lauda unhappy with Hamilton penalty http://news.bbc.co.u[...] BBC Sport 2008-09-08
[12] 웹사이트 Beurtrol voor GP F1 België kan pas in 2013 https://web.archive.[...] Sporza.be 2009-08-04
[13] 웹사이트 Renewed terms gives Spa-Francorchamps 2022 F1 deal https://www.motorspo[...] Motorsport Media Services 2020-06-05
[14] 뉴스 Max Verstappen declared winner of aborted rain-hit Belgian Grand Prix https://www.bbc.co.u[...] BBC Sport 2021-08-29
[15] 뉴스 F1 Commission approves changes to Sporting Regulations regarding points for shortened races https://www.formula1[...] 2022-02-14
[16] 웹사이트 FIA make changes to Safety Car rules ahead of 2022 F1 season start https://www.formula1[...] 2022-03-16
[17] 웹사이트 Verstappen cruises to Belgian Grand Prix victory from P14 as Perez completes Red Bull 1-2 https://www.formula1[...] Formula One 2022-08-28
[18] 웹사이트 Spa to form part of the 2023 F1 calendar following agreement to extend partnership https://www.formula1[...] Formula One 2022-08-28
[19] 웹사이트 Formula 1 to race in Belgium until 2025 under new deal https://www.formula1[...] 2023-10-18
[20] 웹사이트 Belgian GP https://www.chicanef[...] ChicaneF1 2021-12-09
[21] 서적 The Guinness Guide to International Motor Racing https://archive.org/[...] Motorbooks International
[22] 웹사이트 GP Belgium – Sports 4500 cc or 2250 cc s/c 1946 – Race Results https://www.racingsp[...] Racing Sports Cars 2021-12-10
[23] 웹사이트 角田がパワーユニットを交換、大幅なグリッド降格が決定。フェルスタッペンもICEを交換/F1第14戦 https://www.as-web.j[...] autosport web 2024-07-26
[24] 웹사이트 FIA、ベルギーGP中止を発表 http://response.jp/a[...] レスポンス 2006-02-09
[25] 웹사이트 F1フランスGPとベルギーGP、開催権料で合意できず http://www.topnews.j[...] TopNews 2012-03-03
[26] 웹사이트 F1、ベルギーGPと開催契約を延長。”伝統の地”スパ・フランコルシャンが2023年もカレンダーに残る https://jp.motorspor[...] motorsport.com 2022-08-28
[27] 웹사이트 存続危ぶまれたF1ベルギーGP、2025年まで開催契約を延長。 https://jp.motorspor[...] motorsport.com 2023-10-13
[28] 뉴스 ロマン・グロージャン、1レースの出場停止処分 http://f1-gate.com/g[...] 2012-09-03
[29] 문서 Halo, コックピット上部に装着する頭部保護パーツ。詳しくは[[2018年のF1世界選手権]]を参照。
[30] 뉴스 フェルスタッペン6勝目 断続的な雨で一時中断、再開も3周でレース終了 https://www.nikkansp[...] 2021-08-30
[31] 뉴스 F1で珍事…3周でレース終了 レッドブル・ホンダは今季7勝目/ベルギーGP https://www.sanspo.c[...] 2021-08-30
[32] 문서 第13戦として開催されたが、第6戦エミリア・ロマーニャGPが集中豪雨により中止となったため、12戦目の開催となった。
[33] 웹사이트 フェルスタッペン優勝でレッドブルがマクラーレン・ホンダを抜く開幕12連勝! 角田裕毅は今季3度目の入賞|F1ベルギーGP決勝 https://jp.motorspor[...] motorsport.com 2023-07-31
[34] 웹사이트 暫定優勝のラッセルに失格の裁定下る。ルイス・ハミルトンが優勝に/F1第14戦ベルギーGP https://www.as-web.j[...] autosport web 2024-07-29
[35] 문서 1925-1930年に行われた四輪モータースポーツにおける製造者に対する選手権。現在のF1コンストラクターズ選手権の前身にあたる。ただし、1928-1930年は対象となるレースの減少によりキャンセルされた。ベルギーグランプリが選手権の一戦として開催されたのは1925年と1930年。
[36] 웹사이트 1930 CHAMPIONSHIP http://www.kolumbus.[...] 2024-01-28
[37] 웹사이트 GP Belgium - Sports 4500 cc or 2250 cc s/c 1946 - Race Results https://www.racingsp[...] Racing Sports Cars 2024-01-28
[38] 뉴스 【F1 ベルギーGP】リチャルドが今季3勝目…タイトルを争うメルセデス勢がまさかの同士討ち https://web.archive.[...] スポーツナビ 2014-08-25
[39] 웹사이트 Belgian Grand Prix 2020 - F1 Race https://www.formula1[...] The Official F1 Website 2020-08-31
[40] 웹사이트 Belgian Grand Prix 2021 - F1 Race https://www.formula1[...] The Official F1 Website 2023-07-31
[41] 웹사이트 Belgian Grand Prix 2022 - F1 Race https://www.formula1[...] The Official F1 Website 2023-07-31
[42] 웹사이트 Belgian Grand Prix 2024 - F1 Race https://www.formula1[...] The Official F1 Website 2024-01-28
[43] 웹사이트 Belgian Grand Prix 2023 - F1 Race https://www.formula1[...] The Official F1 Website 2023-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